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안내

by 금융인이대팔 2023. 2. 21.

 

 

2023년, 새로운 해가 밝은만큼 청년들을 위한 정책들도 더 새로워졌습니다.

무엇보다 청년들의 자산형성에 도움이 되는 금융상품이 가장 많은 주목이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및 신청 안내를 하겠습니다.

청년이면서, 자산형성에 도움이 되는 금융상품을 찾고 계신 분들이시라면 집중해서 봐주세요.

*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및 신청 안내

가장 먼저, 청년내일저축계좌 추진배경부터 잠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요즘처럼 청년 실업률이 지속이 되고, 여러가지의 문제들로 청년층이 새로운 빈곤위험군으로 부상하는 사회적인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입니다.

이로 인해서, 근로빈곤층 청년의 생계수급자 등으로의 하락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빈곤의 대물림에 대한 차단 대책이며, 청녀니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 지원 및 자립을 촉진시키기 위한 배경이 깔려있습니다.

 


위 사진은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추진 체계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 사업을 총괄하고 있으며, 청년 본인 저축액에서 근로소득장려금과 추가지원금이 더해져서 지원금이 지급이 됩니다.

<조건>

이번에는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조건을 알아보겠습니다.

 


연령, 소득기준, 가구소득, 가구재산 이렇게 네 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첫번째로 연령은 신청 당시 만 15세 이상에서 만 39세 이하로 적용이 됩니다.

이는 가구중위소득 50% 이하에 해당하는 사람입니다.

만약, 가구중위소득 50%를 초과하고 100% 이하인 사람이라면, 신청 당시 만 19세 이상에서 만 34세 이하인 경우입니다.

두번째로 소득기준은 가구중위소득 50% 이하는 근로활동 중이어야 하며,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어야 됩니다.

하지만, 50%를 초과하고 100% 이하라면 연간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하면서 200만원 이하로 적용이 됩니다.

세번째로 가구기준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로 적용이 됩니다,

네번째는 가구재산입니다.

대도시는 3.5억원, 중소도시는 2억원, 농어촌 1.7억원 이하로 적용이 됩니다.

<유의사항>

이 때, 유의하셔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청년희망키움통장이나 청년저축계좌에 가입 중이시라면, 기존 통장 환수해지 후에 신규로 가입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희망저축계좌 1,2에 가입 가구원인 경우에는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이 됩니다.

가입기간은 3년이며, 군입대자에 한해서 2년 적립중지 신청 시에는 5년으로 연장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가입 이후 계층이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원래 기준으로 지원금 적립이 유지되기 때문에, 변경을 희망할 시에는 환수해지한 후에 재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지원내용>

이번에는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원요건은 기준중위소득 50% 이하라면, 매월 10만원 이상 저축하며 3년간 근로활동이 지속되어야 하며, 교육이수에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해야 되니 유의하세요.

그럼, 근로소득장려금 1,080만원이 지원되니 참고 하세요.

기준중위소득 50% 초과에 100% 이하라면, 위와 똑같은 요건이지만 근로소득장려금은 360만원이 지원됩니다.

<적립금>

그렇다면 과연 청년내일저축계좌 적립금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본인적립금

본인적립금은 매월 10만원 이상입니다.

매월 첫 납입시에는 10만원 이상이 필수이지만, 본인의 의지에 따라서 최대 50만원까지 자유적립식 저축이 됩니다.


2. 근로소득장려금

두번째는 근로소득장려금으로 정부지원금입니다.

매월 본인저축액에 10만원 혹은 30만원을 매칭하여 근로소득장려금을 지원합니다.

기준중위소득에 따라 다릅니다.


3. 추가지원금

세번째는 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입니다.

근로소득공제금이 추가지원이 됩니다.

지원기준은 가입당시 생계급여 수급가구의 청년이어야 합니다.

이는, 한국자활복지개발원에서 가입시 생계급여 수급가구의 청년을 대상으로 개설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생계급여 수급가구의 청년이라면, 근로소득공제금에 대해서도 참고하세요.

<신청 안내>

이번에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안내를 알아보겠습니다.

 



읍,면,동 주민센터나 복지로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본인 주소지 관할인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접수를 하셔도 되고, 복지로를 통해서 하셔도 되니, 본인이 편한 방법을 택하셔서 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이렇게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 및 신청 안내를 했습니다.

해당이 되시는 청년분들은 신청해 보시고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

 

 

삼성전자 갤럭시 S23 Ultra 자급제 SM-S918NZEEKOO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